도대체 무슨 시그널

20160317
극본의 개연성을 따지고 들면 한도 끝도 없어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런 장르에서는 개연성이 그 흐름을 끝까지 가져갈 수 있는 중요한 단서이자 이유가 된다.
김은희 작가는 그 개연성을 아주 자주 드라마틱하게 무시하고 또 허술하게 방치해두곤
상상에 맡기는 듯한 작가적 방임을 자주 한다. 그것이 한때 유행하던 ‘열린결말’의 오류인지?
아니면 ‘작가적 한계인지’도 잘 모르겠다.

“우리의 시간은 이어져있다”라는 카피처럼 현재의 일들은 과거에서 비롯되었다는 설정은
진부하다. 그렇다면 이 드라마에서 과거와 현재를 어떻게 이어줄 것인가를 기대하는 것인데,
극 초반부터 ‘그것이 알고싶다’를 생각나게 하는 에피소드를 가져다가 주인공들을 전지전능한 인물로 만들어버렸다.
거기에 한국적 카타르시즘의 결정판 연결고리를 너무나도 당연하게 보이는 부비트랩으로
설치해 놓은 것은 좀 어의가 없다. 이미 전 작에서 많이 실망한 작가라서 기대도 크게 없었지만,
왜 이런 허술한 작가가 되었을까? 남편탓? ㅋㅋㅋ

어쨌거나 좋은 것보단 유명한 것에 이끌리는 희한한 세상에 살고 있으니까…
김작가의 중2병이 치료되길 바라며…

1개 응답

sangwoo song에 답글 남기기 응답 취소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